BRIIDGING THE WATERS(한미 현대시) 2013
what to do with heartbreak
Maria Bennett
seek
the end of whiteness
the plain chaos of wisdom
in the comfort of winter
pry open the heart
like a flower
place your tongue
gently
to its pollen
there are troubadours
who will save us
with their lyric
of what the body
lends to promise
the world grows bigger
with embracing
as each dream
finds its purpose
believing
in what the night
protects
from Because You Love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2011)
Translated into Korean by Rachel S. Rhee & Kyung Hwa Rhee
가슴이 미어질 때는
지혜의 단순한 혼란스러움을
그 하얀 끝자락을
추구하라
편안한 겨울의 안락함 속에서
꽃과 같은
심장을 비집어 열고
너의 혀를
조심스레
꽃가루 위에 올려보아라
육신적 욕망과
관념적 이상이 일치되는
그런 노랫말로
우리를 구제해줄
소리꾼들이 세상에는 있다
밤이
보호해 주는 것을
믿으며
각자의 꿈이
제 길을 발견할 때
세상은 포옹으로
점점 커지리
“Because You Love”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2011)에 게재됨.
to quiet the body
first start with the lips
then find something
which surrenders
remember
the work of love
is unwrapping
not excavation
from Because You Love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2011)
Translated into Korean by Rachel S. Rhee & Kyung Hwa Rhee
Maria Bennett is a poet who has just published her first work entitled Because You Love. Her original work and her translations of the poets Nancy Morejon, Ernesto Cardenal, and Cintio Vitier have appeared in Nexus, Crab Creek Review, and Esprit magazines. The Unfractioned Idiom: Hart Crane and Modernism was published by Peter Lang Press in 1987.
육신을 잠재우기
먼저 입술로 시작하라
그런 후 승복하는 것을
찾으라
기억하라
사랑의 작업은
굴착하는 것이 아니라
벗기어 가는
from Because You Love (Cross-Cultural Communications, 2011)에 게재됨.
마리아 베넷은 시인이며 최근작 시집으로 “Because You Love”가 있다. 낸시 모레온, 어네스토 카디날, 신치오 비티에 시인들의 작품을 번역한 시와 그녀 자신의 시가 “Nexus” 등 여러 잡지에 소개되었다. “The Daily News” 등 여러 신문에서 기사를 게재됨, 비평서적 “The Unfractioned Idiom: Hart Crane and Modernism”이 1987년에 발간되었다.